이천병원·홍성의료원 등 4곳, 지역거점공공병원 평가 A등급

 올해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에서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홍성의료원, 남원의료원, 공주의료원 등 4개 의료기관이 A등급 평가를 받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1일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에 따라 지방의료원 35개, 적십자병원 6개 등 총 41개 지역거점 공공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례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이 평가는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경영상태와 지역주민 건강 증진 기여도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평가 항목은 ▲ 양질의 의료(30점) ▲ 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30점) ▲ 합리적 운영(20점) ▲ 책임 운영(20점)이다.

 평가 결과 A등급(80점 이상) 4개소, B등급(70∼79점) 28개소, C등급(60∼69점) 9개소였다. 전체 평균 점수는 73.6점으로 작년 대비 3.3점 상승했다.

 아울러 평가 우수 기관과 미흡 기관 간 일대일 멘토링을 통해 미흡 기관이 운영 평가 결과를 개선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평가 결과를 통해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운영 상황이 개선됐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