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유선, 24시간이 모자라! 워킹맘의 열혈모먼트

KBS 2TV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유선, 몸이 열 개여도 모자란 그녀의 하루! 고부갈등에 육아와 회사까지 워킹맘은 매일매일 전쟁 중!

(미디어온) KBS 2TV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이하 ‘세젤예’)에서 유선(강미선 역)이 워킹맘의 고된 일상을 리얼하게 그려내며 시청자들의 폭풍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친정 엄마, 시어머니 그리고 딸 사이에서 한시도 쉴 틈 없는 그녀의 열혈 모멘트를 정리해봤다.

1. 친정엄마 김해숙과의 울고 웃는 애증의 모녀사이!

강미선(유선 분)은 엄마 박선자(김해숙 분)가 육아와 집안일을 도와준 덕분에 원만하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남편 정진수(이원재 분)의 작은 투정으로 시작된 박선자와의 갈등은 감정싸움으로 번지며 보는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관광을 다녀오면서 자신과 시댁의 선물을 바리바리 싸들고 온 친정엄마 박선자의 마음 씀씀이에는 미안함과 고마운 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강미선은 친정 엄마에게 쌓인 감정을 터트리거나 고마운 마음을 쉽게 표현하지 못하며 엄마와 딸 사이의 복잡미묘한 애증관계를 섬세같이 표현해 몰입도를 한층 높이고 있다.

2. 막강 시월드 박정수에 맞서 고군분투하는 며느리!

강미선은 시어머니 하미옥(박정수 분)에게 울며 겨자먹기로 딸 정다빈(주예림 분)을 맡기게 된 후 무시무시한 시월드에 시달리게 된다. 칼퇴를 요구하는 시어머니의 말에 폭풍 달리기로 퇴근하는가 하면 집안 사정으로 몰래 월차를 썼지만 이를 알게 된 하미옥의 분노에 눈치만 보게 된 것. 또 억지스런 시어머니의 말에 분노를 꾹꾹 참다가도 어쩔 수 없이 그녀의 비위를 맞춰야하는 며느리의 고충을 리얼하게 보여주며 현실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갑작스런 하미옥의 양육비 요구에 난감해진 그녀가 쉽지 않은 시월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 딸 주예림에게 늘 미안한 워킹맘

집안일과 회사일로 인해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강미선은 딸과 함께하는 시간이 적어 늘 마음의 죄책감을 안고 있다. 그녀는 딸 정다빈과 함께 시댁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엄마가 나 안 찾으러 올까봐 걱정돼”라는 딸의 속마음을 듣고 울컥하는 모습은 워킹맘의 애환을 보여줬다. 속상한 마음에 정다빈을 꼭 안아주고 미안하다 속삭이는 그녀의 눈물은 시청자들 역시 눈물을 글썽이게 만들었다.

유선은 친정 엄마에게 짜증을 내다가도 돌아서면 후회하는 모습, 딸에게 미안해하는 워킹맘의 복잡한 심경 등 누구나 한번쯤은 겪어봤을 상황을 섬세하게 보여주며 폭풍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또 워킹맘이 가진 현실적인 고충을 진정성 있는 연기로 표현해 매회 시청자들의 몰입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

과연 강미선에게도 봄날이 올 수 있을지 그녀의 고군분투는 매주 토, 일요일 저녁 7시 55분 방송되는 KBS 2TV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1초에 100만번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생체 모방 촉매 설계 활용"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의 반응과정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포착했다. UNIST 물리학과 김채운 교수팀은 탄산탈수효소Ⅱ(Carbonic Anhydrase Ⅱ)가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바꾸는 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탄산탈수효소 Ⅱ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잘 녹는 탄산 이온으로 바꾸는 단백질 촉매다. 이 촉매 분자의 활성자리에 이산화탄소가 붙었다가 탄산으로 바뀌어 떨어지는 반응이 일어나는데, 반응이 1초에 100만 번 이상 일어날 정도로 빨라 그 중간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 연구진은 자체 설계한 '분자 영화 기술'을 활용해 반응 전 과정을 포착했다. 분자 영화 기술은 촬영 컷을 이어 만드는 영화처럼 효소 분자의 반응을 단계별로 얼려 X선으로 연속 촬영하고 이를 시간순으로 복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효소 활성자리에서 물 분자가 자리를 바꾸고, 새 물이 유입되면서 탄산 이온이 빠르게 방출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 분자의 재배열과 교체라는 중간 단계가 생성물의 방출 속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는 것이다. 제1 저자인 김진균 박사는 "영하 113℃에서 영하 93℃

메디칼산업

더보기
제약·바이오, 코스닥 진입 활성화…"상장규제 개선 필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잇달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여 업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제약·바이오 기업 최소 3곳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이번 주에는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코스닥에 진입했다. 이 회사는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돼 300종 이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 병의원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해 인체 장기를 재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업 인투셀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인투셀의 경우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2배의 근접한 수준에서 장을 마치기도 했다. 하반기 코스닥 상장이 예정된 기업도 적지 않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식물 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지에프씨생명과학도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 바이오 소재 생산부터 테스트까지 원스톱 설루션을 제공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도 코스닥 입성에 주력하고 있다. 뇌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