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침 합친 '도침' 허리 디스크 개선 효능 밝혀

한의학연, 환자 146명 임상 연구서 효과 입증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창현 박사 연구팀이 '도침'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개선한다는 것을 임상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흔히 허리디스크라 불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의 추간판이 돌출돼 염증이 생긴 주위 신경근을 압박하며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대전대 한방병원 김영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허리디스크 환자 146명을 대상으로 도침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연구를 진행했다.

 도침은 1976년 중국 주한장 교수가 침과 수술용 칼을 결합해 개발한 신침 요법이다.

 끝이 납작한 끌 모양으로, 주로 일반 침으로 치료가 어려운 만성질환 치료에 이용돼 왔다.

 연구팀이 도침 치료 실험군(73명)과 일반 침 치료 대조군(73명)으로 나눠 2주 동안 네 차례에 걸쳐 시술한 결과 도침 치료의 통증 점수(VAS)가 32.8% 개선돼 일반 침 치료의 개선율(13.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침 치료와 일반 침 치료의 증상 개선 정도 비교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능 장애 지수와 삶의 질 지수도 각각 도침 실험군이 38.3%, 8.4%씩 개선돼 일반 침 대조군(22.0%, 6.6%)보다 개선 효과가 뛰어났다.

 한창현 박사는 "한의 신침 요법인 도침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한의 치료의 신뢰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