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는 웹툰·20대는 토스·40∼60대 밴드 많이 사용"

카톡·유튜브·네이버·쿠팡은 모든 연령대서 상위권

  10대는 다른 연령대보다 '네이버 웹툰'과 통·번역 앱 '네이버 파파고'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2일 국내 만 10세 이상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해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1∼11월 각 연령대(10대 이하∼60대 이상 총 6개 구간)가 많이 쓴 10개 앱 가운데 1∼3위는 카카오톡, 유튜브, 네이버로 순위까지 모두 같았다. 쿠팡도 모든 연령대의 인기 앱 순위 4∼7위를 차지했다.

 다만 10대 이하에서는 다른 연령대 순위에는 없는 소셜·엔터테인먼트 앱이 여럿 포함됐다. 네이버 웹툰이 5위, 게임·메타버스 앱 로블록스가 6위, 틱톡이 8위, 파파고가 9위였다.

 20대에서는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가 9위에 올랐지만 30대 이상 연령대 순위에는 토스 대신 삼성페이가 8∼10위를 차지했다.

 소셜미디어 앱은 연령대별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10∼30대 순위에서는 인스타그램이 4∼5위를 차지했지만 40∼60대는 인스타그램은 순위에 없고 네이버 밴드가 모두 5위에 들었다.

 60대 이상에서는 유일하게 카카오스토리도 9위로 순위에 들었다. 페이스북은 유일하게 10대 이하 순위 중 10위에만 포함됐다.

 이외에도 카카오[035720]의 '다음' 앱은 50∼60대 순위에만 등장했다. 음식 주문 앱 배달의민족은 20∼40대,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은 20∼50대 10위권에 들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