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달이상 콩팥 기능 저하 10년새 2배 이상 증가…세계인구 11% 만성콩팥병

초기증상 없어 정기검진 중요…질병청, 10가지 예방관리수칙 발표

 석달 이상 콩팥(신장)에 손상이 있거나 콩팥 기능이 저하된 '만성콩팥병'의 국내 환자가 최근 10년새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건강보험통계를 보면 만성콩팥병(질병코드 N18) 진료인원은 2011년 11만8천명에서 2021년 28만2천명으로 크게 늘었다.

 전체 진료비 역시 그사이 1조1천700억원에서 2조3천900억원으로 갑절로 증가했다.

 만성콩팥병은 전 세계 인구의 11%가 갖고 있을 정도로 널리 퍼진 질병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2021년 기준 국내 성인의 유병률은 8.4%다. 유병률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아져 70세 이상은 26.5%나 됐다.

 만성콩팥병은 당뇨병, 고혈압 등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경우가 흔한데,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서 콩팥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뒤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사나 당뇨병, 고혈압 환자 가족들의 관심이 중요하다.

 서울대의대 등 18개 기관이 수행한 만성콩팥병 환자 장기추적연구에서는 만성콩팥병의 병기가 높을수록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률과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병으로 인한 만성콩팥병은 다른 유형보다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뇌질환 등 심혈관질환 유병률이 증가했다.

 세계신장학회(ISN)와 국제신장재단연맹(IFKF)은 3월 두번째 목요일(올해는 3월9일)을 세계 콩팥의 날로 정해 콩팥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세계인구 11% 만성콩팥병…국내 환자 10년새 2배 이상↑ - 2

 질병관리청은 세계 신장의 날을 맞아 대한의학회 등 전문학회와 공동으로 만성콩팥병 예방관리수칙을 이날 발표했다.

 수칙은 일반인과 모두에게 적용되는 7개 항목과 환자에게만 적용되는 3개 항목 등 10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질병청은 대한의학회, 대한신장학회 등과 함께 '나와 가족을 위한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 정보'를 만들어 이런 수칙을 실천방법과 함께 제공한다.

 만성콩팥병 예방관리수칙은 다음과 같다.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kdca.go.kr), 질병관리청 홈페이지(www.kdca.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고혈압과 당뇨병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 음식은 싱겁게 먹습니다

 ▲ 매일 30분 이상 운동과 신체활동을 합니다

 ▲ 담배는 반드시 끊고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 콩팥의 상태에 따라 물을 적당히 마십니다

 ▲ 정기적으로 단백뇨와 크레아티닌 검사를 받습니다

 ▲ 만성콩팥병 환자는 단백질을 하루 권장량을 넘겨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만성콩팥병 환자는 칼륨이 많이 들어있는 과일이나 채소를 지나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 만성콩팥병 환자는 콩팥의 상태에 맞게 처방받은 약을 의사나 약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합니 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