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집 작은 개, 수명 길고 노화 시작 늦지만 노화 속도 빨라"

헝가리 연구팀 "건강수명 긴 반려견 원하면 체중 10~30㎏ 개 권장"

 몸집이 작은 품종의 개는 큰 개에 비해 수명이 최대 2배 길고 노화도 늦게 시작되지만 인지 기능 저하 등 노화 속도는 큰 개보다 훨씬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 보르벌러 투르찬 박사와 에니코 쿠비니 교수팀은  노화 학술지 '제로사이언스'(Geroscience)에서 반려견 1만5천여 마리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소형견은 평균 수명이 대형견보다 2배 길고 노화도 늦게 시작되는 대신, 노화가 빠르게 진행돼 수명 대비 건강수명이 짧지만, 대형견은 수명이 짧고 노화가 일찍 시작되는 반면, 노화 속도가 느려 수명 대비 건강수명은 오히려 길다는 것이다.

 개는 가장 작은 품종과 큰 품종 간 체중이 50배 이상 차이가 나고 크기와 수명 간 역관계도 두드러지지만, 품종 간 노화 진행 차이 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그레이트데인(50~80kg)과 같은 대형견은 평균 수명이 6.5년, 토이 푸들(2~4kg) 같은 소형견은 14.6년으로 배 이상 차이가 난다.

 몸무게는 6.5㎏ 미만의 토이 품종, 6.5~9㎏ 미만 미니어처, 9~15㎏ 미만 중소형, 15~30㎏ 미만 중대형, 30~40㎏ 대형, 40㎏ 이상 초대형 등 6개 그룹으로 나눴다.

 분석 결과 개의 노화는 대체로 10.5세부터 시작되지만, 노화의 시작과 노화 속도는 개의 크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노화가 진행 중인 개

 몸무게 30㎏ 이상인 대형견과 초대형견은 7~8세에 노화가 시작되지만, 노화 속도는 작은 개보다 느렸다.

 반면 소형견은 노화가 10~11세에 시작되지만, 노화 속도는 대형견보다 훨씬 빨랐다.

 이 때문에 노화가 시작된 후 고령 개 그룹에서 사람의 알츠하이머병과 유사한 개 질환인 '개 인지기능 장애'(CCD)가 나타나는 비율이 몸집이 작을수록 높아졌다.

 고령 그룹의 CCD 유병률은 토이 품종이 84.6%, 미이어처가 61.4%, 대형견 40%, 초대형견 18.7%였다.

 고령 그룹의 CCD 유병률은 또 머리 모양과 순종 여부에 따라서도 크게 달랐다.

 머리가 긴 장두형(dolichocephalic)은 유병률이 77%로 주둥이가 짧은 단두형(brachycephalic. 40%), 주둥이가 중간인 중두형(mesocephalic, 40%)보다 배 정도 높았다. 또 순종견 고령 그룹의 CCD 유병률이 81.8%로 잡종견(54.8%)보다 높았다.

 연구팀은 또 이 연구에서 가장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소유자들이 반려견의 크기나 순종 여부와 관계 없이 노화에 따른 행동 변화가 나타나기 4~5년 전인 6세 전후부터 반려견이 '늙었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투르찬 박사는 "연구 결과 중간 크기 개들이 소형견이나 대형견보다 수명 대비 건강 수명이 길었다"며 "작은 개를 원하지만, 노년기의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를 감수하고 싶지 않거나 큰 개를 원하지만, 이른 나이의 신체 건강 문제를 감수하지 않고 싶다면 10~30㎏ 크기의 개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 출처 : Geroscience, Borbála Turcsán et al., 'Differential behavioral aging trajectories according to body size, expected lifespan, and head shape in dogs', http://dx.doi.org/10.1007/s11357-023-00945-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