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집 작은 개, 수명 길고 노화 시작 늦지만 노화 속도 빨라"

헝가리 연구팀 "건강수명 긴 반려견 원하면 체중 10~30㎏ 개 권장"

 몸집이 작은 품종의 개는 큰 개에 비해 수명이 최대 2배 길고 노화도 늦게 시작되지만 인지 기능 저하 등 노화 속도는 큰 개보다 훨씬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 보르벌러 투르찬 박사와 에니코 쿠비니 교수팀은  노화 학술지 '제로사이언스'(Geroscience)에서 반려견 1만5천여 마리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소형견은 평균 수명이 대형견보다 2배 길고 노화도 늦게 시작되는 대신, 노화가 빠르게 진행돼 수명 대비 건강수명이 짧지만, 대형견은 수명이 짧고 노화가 일찍 시작되는 반면, 노화 속도가 느려 수명 대비 건강수명은 오히려 길다는 것이다.

 개는 가장 작은 품종과 큰 품종 간 체중이 50배 이상 차이가 나고 크기와 수명 간 역관계도 두드러지지만, 품종 간 노화 진행 차이 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그레이트데인(50~80kg)과 같은 대형견은 평균 수명이 6.5년, 토이 푸들(2~4kg) 같은 소형견은 14.6년으로 배 이상 차이가 난다.

 몸무게는 6.5㎏ 미만의 토이 품종, 6.5~9㎏ 미만 미니어처, 9~15㎏ 미만 중소형, 15~30㎏ 미만 중대형, 30~40㎏ 대형, 40㎏ 이상 초대형 등 6개 그룹으로 나눴다.

 분석 결과 개의 노화는 대체로 10.5세부터 시작되지만, 노화의 시작과 노화 속도는 개의 크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노화가 진행 중인 개

 몸무게 30㎏ 이상인 대형견과 초대형견은 7~8세에 노화가 시작되지만, 노화 속도는 작은 개보다 느렸다.

 반면 소형견은 노화가 10~11세에 시작되지만, 노화 속도는 대형견보다 훨씬 빨랐다.

 이 때문에 노화가 시작된 후 고령 개 그룹에서 사람의 알츠하이머병과 유사한 개 질환인 '개 인지기능 장애'(CCD)가 나타나는 비율이 몸집이 작을수록 높아졌다.

 고령 그룹의 CCD 유병률은 토이 품종이 84.6%, 미이어처가 61.4%, 대형견 40%, 초대형견 18.7%였다.

 고령 그룹의 CCD 유병률은 또 머리 모양과 순종 여부에 따라서도 크게 달랐다.

 머리가 긴 장두형(dolichocephalic)은 유병률이 77%로 주둥이가 짧은 단두형(brachycephalic. 40%), 주둥이가 중간인 중두형(mesocephalic, 40%)보다 배 정도 높았다. 또 순종견 고령 그룹의 CCD 유병률이 81.8%로 잡종견(54.8%)보다 높았다.

 연구팀은 또 이 연구에서 가장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소유자들이 반려견의 크기나 순종 여부와 관계 없이 노화에 따른 행동 변화가 나타나기 4~5년 전인 6세 전후부터 반려견이 '늙었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투르찬 박사는 "연구 결과 중간 크기 개들이 소형견이나 대형견보다 수명 대비 건강 수명이 길었다"며 "작은 개를 원하지만, 노년기의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를 감수하고 싶지 않거나 큰 개를 원하지만, 이른 나이의 신체 건강 문제를 감수하지 않고 싶다면 10~30㎏ 크기의 개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 출처 : Geroscience, Borbála Turcsán et al., 'Differential behavioral aging trajectories according to body size, expected lifespan, and head shape in dogs', http://dx.doi.org/10.1007/s11357-023-00945-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 시냅스의 모든 것" IBS 연구지침서 제작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강봉균 단장, 이상규 연구위원, 비노드 티말시나 박사후연구원은 뇌 시냅스의 관찰·조절 기술을 집대성한 '시냅스 연구 종합지침서'를 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사고·감정·기억 등을 수행하는 뇌의 능력은 860억개의 신경세포 간 정교한 연결과 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에 의해 이뤄진다. 신경세포 간 연접 부위인 시냅스가 소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600조개에 달하는 각 시냅스의 미세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팀은 지침서를 통해 주요 시냅스 관찰 기법을 '시냅스 연결 기반 신경세포 표지 기술', '시냅스 내 분자 선택적 표지 기술, '전시냅스와 후시냅스 접촉면 표지 기술' 등 세 가지로 분류한 뒤 각 기술의 장점과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나아가 시냅스의 기능을 빛으로 조절할 수 있는 최신 광유전학 기술들을 소개하며 시냅스 관찰과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강봉균 연구단장은 "시냅스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는 동시에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올인원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냅스 기능과 관련 질환의 미스터리를 풀어내는 연구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