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자폐증, 5세 넘으면 사라질 수도"

 영아기에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을 받은 아이 중 3분의 1은 나중 아동기에 이르면 자폐 증상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 대학 아동병원 발달의학과의 엘리자베스 하스타드 교수 연구팀이 생후 12~36개월 사이에 자폐 장애 진단을 받은 아이들 213명(평균연령 24.6개월, 남아 177명, 여아 36명)을 5~7세가 될 때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중 79명(37.1%)은 5~7세(평균연령 74.3개월) 사이에 ASD 진단 기준에서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나중에 ASD 진단 기준에서 벗어난 아이들은 지능지수(IQ)가 70 이상이었다. ASD 기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아이들은 88명은 IQ가 70 이상, 46명은 70 이하로 쌍봉형 분포(bimodal distribution)를  보였다.

 나중 ASD 기준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은 변수는 적응 기술(adaptive skill) 향상과 여성이었다.

 적응 기술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원만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영역 중 하나로 지적 장애 아동의 판별 기준이 된다.

 이 결과는 ASD 아이들은 나중 사회적 소통과 행동 기능에 변화가 올 수 있으며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증상을 모니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 협회 저널 - 소아과학'(JAMA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대란 초과사망 없었다?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 봐야"
전공의들이 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해 병원을 떠난 1년여간 '초과 사망'이 없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연구자를 포함한 의료계에서는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를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진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교수(예방의학과 전문의)는 18일 '더 나은 의료시스템을 함께 만들어가는 의료소비자-공급자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이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2019∼2023년과 의정갈등 시기인 2024년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사망률이 특별히 증가했다는 증거는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령 표준화 사망률이 의정갈등 이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상되는 사망자 수를 넘어선 '초과 사망'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의료인의 파업이 환자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은 앞선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2000년 '의약분업 사태' 당시 의사 파업 때 환자 사망률이 특별히 증가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김 교수는 초과 사망이 없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으면서도 단순히 그 숫자에 주목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초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