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덧셈 훈련 도움 될까…"유치원생 계산 능력 향상 효과"

스위스 연구팀 "손가락 덧셈 훈련 어린이, 덧셈 정답률 크게 높아져"

 5~6세 어린이들에게 손가락을 폈다 접으며 덧셈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그렇게 하지 않은 경우보다 계산 실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로잔대 캐서린 테베노 교수팀은 20일 아동 발달연구학회(SRCD) 학술지 '아동 발달'(Child Development)에서 유치원 어린이들에게 손가락으로 수를 세며 덧셈하는 방법을 가르치면 산수 실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테베노 교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종종 아이들에게 손가락을 사용해 계산하는 것을 장려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질문하곤 하는 데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연구가 없어 '모르겠다'고 답할 수밖에 없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프랑스 지역의 다른 학교에 설치된 유치원 28개 학급 5~6세 유치원생 328명을 대상으로 손가락으로 수를 세도록 훈련할 수 있는지, 이런 훈련이 계산 능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실험했다.

 실험 시작 전 간단한 덧셈 문제를 푸는 테스트를 하고, 이어 2주간 6회에 걸쳐 10분 동안 손가락으로 수를 세고 이를 이용해 한 자릿수 덧셈을 하는 훈련을 한 다음 다시 덧셈 문제를 푸는 테스트를 했다.

 그 결과 손가락 덧셈 훈련을 받은 어린이들의 경우 덧셈 정답률이 훈련 전 37%에서 훈련 후 77%로 높아졌으나, 계산할 때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어린이들의 정답률은 사전 테스트 40%, 사후 테스트 44%로 큰 변화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 효과는 첫 실험에서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어린이들에게 손가락 훈련을 한 실험에서도 그대로 재현됐다며 이는 손가락 덧셈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면 아이들의 산수 실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숫자를 셀 때 손가락을 사용하는 어린이가 그것을 계산 절차로 사용하는 것인지 아니면 숫자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향후 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테베노 교수는 "이 결과는 '아이들에게 덧셈 문제를 풀 때 손가락을 사용하도록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오랜 의문에 답을 제공한다"며 "이 방법이 어린이들 사이의 수학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 출처 : Child Development, Catherine Thevenot et al., 'Finger counting training enhances addition performance in kindergarteners', https://srcd.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cdev.1414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업계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업체 인센티브 필요"
제약업계가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업체에 대한 공식 인증 등 공급지원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과 희귀·필수의약품 긴급도입 기간 단축 방안 등을 건의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8일 서울 중구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환자단체, 의·약사 단체, 제약사와 '의약품 공급지원을 위한 현장 소통 간담회'에서 이런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지원 확대 방안 및 센터 기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센터의 공급지원 사업 현황 및 환자단체 등의 건의·애로사항을 들었다. 환자단체는 최근 공급중단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던 의약품의 공급계획 안내를 요청했다. 식약처는 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함께 희귀질환 의약품을 적시에 공급하고 환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희귀의약품을 신속하게 도입하고 환자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국가필수의약품에 대한 원료·완제의약품의 기술개발과 국내 제약사를 통한 위탁생산을 활용해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급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희귀·필수의약품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업계, 환자단체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적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정강이뼈 뒤로 얼마나 기울었나' AI가 자동으로 측정
무릎 관절의 안정성 등에 관여하는 정강이뼈(경골)가 뒤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촬영된 무릎 관절 측면 엑스레이 영상 1만여건을 바탕으로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골 후방 경사각은 종아리 안쪽에 있는 경골을 옆에서 볼 때 관절이 얼마나 뒤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무릎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평소에 십자인대를 다칠 위험이 크고, 무릎 인공관절 수술 예후도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같은 환자라도 측정하는 사람이나 무릎 엑스레이 촬영 각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수술 예후 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릎 엑스레이 영상에서 무릎뼈의 해부학적 기준점 6곳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준점을 이용해 경골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