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부터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정신병원, 재활의료기관에서도 코로나19 먹는치료제(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자체적으로 처방할 수 있게 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부터 먹는치료제 처방기관이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정신병원, 재활의료기관으로 확대됐다. 전날까지 먹는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던 의료기관은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와 재택치료자 관리의료기관, 입원·입소 환자를 보고 있는 생활치료센터, 노인요양시설 및 요양병원, 감염병 전담병원, 감염병 전담 요양병원, 대면진료가 가능한 호흡기전담클리닉과 호흡기 진료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동네 병·의원 등이다. 질병관리청은 확진자가 있어 코호트 격리를 하게 되는 기관들 중 치료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곳을 대상으로 처방기관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먹는치료제 처방기관이 확대된 가운데 9일에는 팍스로비드 4만5천명분이 국내에 추가로 도입된다. 정부는 현재까지 팍스로비드 76만2천명분과 또 다른 먹는 치료제인 머크앤컴퍼니(MSD)의 몰누피라비르 24만2천명분을 합쳐 총 100만4천명분에 대한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1월 13일 2만1천명분의 팍스로비드 초도물량이 들어왔으며, 9일 도착하는 물량
5세 미만 유아들이 잘 걸리는 호흡기 감염 질환인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증을 예방하는 새로운 항체 백신이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3상 임상시험 결과 밝혀졌다. RSV는 만 2세 미만의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은 바이러스로 감염되면 폐렴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5세 미만 아이가 감염되면 입원 위험이 높다. 현재 RSV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은 없으며 팔리비주맙(palivizumab)이라는 단클론항체 주사제가 RSV 위험이 높은 유아에 투여되고 있다. 예방 효과는 한 달밖에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유행 기간 내내 모두 5차례 맞아야 한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제약회사와 프랑스의 사노피 제약회사가 공동 개발한 새로운 RSV 항체 백신 니르세비맙(nirsevimab)은 단 한 번의 접종으로 매년 5개월 지속되는 RSV 유행 기간 내내 면역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은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생후 처음으로 RSV 시즌을 맞는 1세 미만의 건강한 유아 1천4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분의 2는 니르세비맙 항체
코로나19 대규모 유행으로 어린이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일부 유명 제품을 중심으로 소아용 감기약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소아 재택치료 키트에 해열제 등이 포함된데다 상비약을 비축하려는 사람들도 많아진 탓이다. 정부 역시 이러한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제약업계와 감기약 증산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관리청은 시럽 형태의 소아용 해열제와 감기약을 생산하는 제약사와 간담회를 하고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지 등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등 유관 협회를 통해 제약사들에 어린이 감기약과 해 열제 등을 증산하도록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식약처 관계자는 "소아 재택치료 키트에 시럽제 감기약과 해열제 등이 포함된 터라 증산 가능성 등을 확인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러한 요청에도 단기간 내 설비 증설 등을 통한 대규모 증산은 쉽지 않다는 게 업계 분위기다. 그 대신 기존 설비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생산을 늘리는 데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챔프', '콜대원' 등 유명 어린이 감기약을 생산하는 제약사들은 이미 공장을 최대치로 가동해 물량을 납품하고 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사망률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급성심근염은 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과 인과성을 인정할만한 근거가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4일 오후 코로나19백신안전성위원회 2차 포럼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급성심근염의 경우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접종과 인과성을 인정할만한 근거가 확인됐으나, 급성심낭염은 현재까지 인과성을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다. 백신 접종을 고려하지 않을 때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국내 전체 인구집단에서 인구 10만명당 약 0.043건의 급성 심근염과 0.17건의 급성 심낭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 기간에 실제로 관찰된 발생률은 급성 심근염 0.367건과 급성심낭염 0.228건으로 기댓값의 8.5배, 1.3배였다. 백신 1회 접종 후 급성 심근염의 발생률은 화이자 백신의 경우 3.57배, 모더나 백신의 경우 5.67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급성 심낭염의 경우에도 화이자 백신 접종 후 9.6배, 모더나 백신 접종 후 7배로 증가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존슨앤드
한국오가논이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해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2일 밝혔다. 김소은 한국오가논 대표는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과학 기술의 발달로 기대 수명이 길어지면서 여성 건강 분야에서의 미충족 수요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해졌다"며 이렇게 밝혔다. 오가논은 지난해 6월 다국적제약사 MSD에서 분사해 공식 출범한 글로벌 제약기업이다. 여성 건강,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만성질환 등의 분야에서 60개 이상의 의약품을 140여 개국에 공급하고 있다. 골다공증 치료제 '포사맥스', 피하 이식 피임 기구 '임플라논', 난임 치료제 '퓨레곤', 폐경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질환 등에 쓰는 여성 호르몬제 '리비알' 등이 잘 알려진 제품이다. 오가논은 여성의 임신과 출산, 폐경 등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필요한 의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출산 후 출혈을 치료할 수 있는 자다(JADA) 시스템을 개발한 의료기기 기업 알리디아 헬스와 자궁내막증 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바이오벤처 기업 포렌도파마를 인수하는 등 관련 사업을 확대해왔다. 김 대표는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제품들에서 그
생물학적 제제(biologic)인 테제펠루맙(tezepelumab)이 치료가 어려운 중증 천식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테제펠루맙(제품명: 테즈스파이어)은 아스트라 제네카와 암젠 제약회사가 공동 개발한 생물학적 제제로 기도 염증을 유발하는 핵심 사이토카인 계열 단백질인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SLP: 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을 억제한다. 이 단백질은 꽃가루와 바이러스 같은 공기 속의 천식 유발 물질에 반응해 분비된다. 생물학적 제제란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만든 의약품으로 동물의 체세포나 혈액 등을 이용해 인체 안에 있는 물질을 외부에서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다시 인체에 주입, 병을 치료한다. 아스트라 제네카와 암젠 제약회사 공동 연구팀이 중증 천식 환자 1천59명(12~80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무작위 대조군 설정, 이중맹(double-blind) 3상 임상시험(NAVIGATOR)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이중맹 방식이란 임상시험에서 시험약과 위약(placebo)이 누구에게 투
코로나19 재택치료가 본격화되면서 감기약과 해열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루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10만명에 이르면서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상비약을 구비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동아제약의 '판피린'과 '챔프', 대원제약의 '콜대원' 등 의사의 처방이 필요 없는 일반 감기약 판매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다. 동아제약은 현재 도매상에서 보유하고 있는 판피린의 재고가 급격히 소진되고 있다고 전했다. 동아제약은 의약품 도매상을 거쳐 약국에 공급하는데, 약국에서 판피린 수요가 많아지면서 1차적으로 도매상 물량이 빠져나가고 있다. 어린이 해열제 및 감기약 '챔프' 시리즈 역시 생산하는 족족 출하되고 있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달 첫째 주와 둘째 주부터 감기약 수요가 늘어나면서 챔프도 지속해서 생산하고 있지만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동아제약은 감기약뿐 아니라 액상 진통제와 인후염 증상 치료제, 비염 증상 치료제 등의 매출도 예년과 비교해 늘었다고 밝혔다. 대원제약 역시 감기약 수요에 맞추기 위해 생산공장을 '풀가동'하고 있다. 방역 지침이 변경된 후 감기약을 구비해놓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진 게 수요 증
스타틴(-statin)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는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심근경색과 뇌졸중 위험을 낮추어 주는 약이다. 많은 고지혈증 환자들에게 스타틴이 처방되고 있으나 복용하다 끊거나 복용하다 말다 하는 환자들이 거의 5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유는 근육통, 소화장애, 수면장애 같은 부작용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는 '노시보'(nocebo)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노시보 효과란 어떤 약의 부작용 위험을 미리 알고 있는 복용자의 지레짐작에서 오는 허위 증세를 말한다. 치료 효과가 없는 약을 효과가 있다면서 환자에게 주면 실제로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플래시보(위약)' 효과(placebo effect)라고 한다. 반면 환자들이 위약을 진짜 약물로 믿어 간혹 그 약이 지니고 있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노시보' 효과다. 이것이 사실임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폴란드 지엘로나(Zielona) 대학 의대 심혈관 연구소장 마치에지 바나흐 교수 연구팀은 스타틴 복용자 중 실제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은 10명 중 한 명도 안 된다는 연구
신약 페그세타코플란(pegcetacoplan)이 노인 실명의 가장 큰 원인인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시신경 조직인 황반에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이 손상돼 시야의 중심부를 보는 시력인 중심시(central vision)를 잃는 질환이다. 페그세타코플란(제품명: 엠파벨리)은 아펠리스(Apellis) 제약회사가 개발한 신약으로 황반변성을 포함한 보체 매개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도헤니 안과 연구소(Doheny Eye Institute)의 무네스와 굽타 니탈라 교수 연구팀은 페그세타코플란이 유전적 소인(genetic predisposition)에 의한 황반변성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황반변성의 유전적 소인이 있는 167명을 3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매달 한 번, 또 한 그룹엔 두 달에 한 번 페그세타코플란을 안구 내 주사로 투여했다. 나머지 그룹은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 삼았다.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