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당 근무 70시간 넘기면 유산 위험 50시간의 1.7배"

순천향대병원, 여성 근로자 4천78명 유산 경험 분석결과

 일주일에 70시간을 초과해 근무하는 여성은 50시간 이하 근무한 여성과 비교해 유산할 위험이 1.7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준희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이완형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에 참여한 19세 이상 여성 근로자 4천78명의 유산 경험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 유산을 경험한 여성은 234명으로 5.7%였다.

연구팀은 이들을 주당 근무시간에 따라 ▲ 50시간 이하 ▲ 51~60시간 ▲ 61~70시간 ▲ 70시간 초과 등 네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하루 8시간 근무, 주당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두고 주당 12시간의 초과 근무를 허용해주는 주 52시간 체제를 반영한 것이다.

그 결과 일주일에 70시간을 초과해 일하는 여성은 9.8%가 유산을 경험한 반면 50시간 미만 근무하는 여성의 유산 경험률은 4.9%였다.

특히 주당 70시간 넘게 일하는 여성은 50시간 미만 근무하는 여성에 비해 유산을 경험할 확률이 1.66배에 달했다. 유산에 영향을 줄 만한 연령, 흡연, 음주, 비만 등 외부 요인은 모두 보정한 결과다.

주당 61~70시간 근무하는 여성 역시 50시간 미만 근무 여성보다 유산 위험이 1.56배였다.

이준희 교수는 "대개 일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산할 위험이 높다는 대중의 인식을 학술적으로 증명했다는 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일하는 여성의 모성을 보호하는 정책의 근거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공중보건 분야 국제학술지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식물 뿌리가 중력 방향으로 굽어 내려가는 원리 찾았다"
식물 뿌리는 중력 방향으로 자라는 중력굴성(gravitropism)을 보이는 것은 '옥신'(auxin)이라는 호르몬이 특정 유전자를 활성화해 뿌리 세포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세포벽 성장 차이를 유발해 뿌리가 중력 쪽으로 굽게 만들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라훌 보살레 교수팀과 중국 상하이교통대 황궈창 교수팀은 최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서 식물 호르몬인 옥신이 어떻게 뿌리가 중력 방향으로 굽어 내려가도록 작용하는지 실험으로 규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식물 뿌리의 각도는 뿌리 시스템의 핵심적 특징이며 식물과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접점으로 주로 중력굴성에 의해 결정된다. 중력굴성은 중력에 반응해 뿌리 윗부분과 아랫부분 세포가 서로 다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연구팀은 옥신이 매개하는 뿌리의 중력굴성이 뿌리의 각도를 결정하는 핵심 과정으로, 옥신 반응 인자(ARFs)에 의해 조절되지만, 이들이 작동하는 구체적인 대상과 기능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벼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뿌리 중력굴성이 나타나는 과정에 옥신과 특정 유전자들이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분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