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0일은 임산부의 날…임산부 54% "배려받지 못했다"

'임산부 티 나지 않아서' 답변 많아…출·퇴근 시간 조정 36% 그쳐
복지부, 제15회 임산부의 날 기념행사…공항철도주식회사에 대통령 표창

 임산부 절반 이상은 일상생활에서 타인으로부터 배려를 받은 적이 없다고 답해 임산부 배려 문화가 더욱 확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임산부의 날'(10월 10일)을 맞아 실시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임산부의 54.1%는 '배려를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4일부터 23일까지 임신육아종합누리집 홈페이지와 아이사랑, 베이비 뉴스 등에서 임산부 1천500명과 일반인 1천500명 등 총 3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배려받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 것 같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4.3%는 '배가 나오지 않아 임산부인지 티가 나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임산부가 받은 배려를 살펴보면 가정 내 청소·빨래·식사 등 가사 분담이 59.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에서 좌석을 양보받았다는 답변도 46.5%였다.

 그러나 직장에서 출·퇴근 시간 조정을 받았다는 응답은 35.8%에 그쳤다.

 임산부를 배려하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냐는 질문에 임산부와 일반인 모두 '임산부 배려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임산부 64.6%, 일반인 61.9%)고 답했다.

 복지부는 '제15회 임산부의 날'을 맞아 이날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기념행사를 열었다. 기념식에서는 임신·출산 친화적 환경 조성에 앞장서 온 유공자를 포상했다.

 대통령 표창은 임산부 배려석에 인형을 비치하고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 등 4개 국어로 임산부 배려를 알리는 안내방송을 하는 등 편의 증진에 기여한 '공항철도주식회사'가 받았다.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한 배진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부교수, 근로자들의 자녀 보육을 안정적으로 지원해 온 전라북도청어린이집 원장 김병준 씨 등 2명에게는 국무총리 표창이 수여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임산부의 안전하고 행복한 임신·출산을 위해서는 주변의 작은 관심과 배려가 필수적"이라며 "임신·출산 친화 환경을 조성하고 임산부 배려 문화가 확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임산부의 날은 풍요의 달인 10월과 임신기간 10개월의 의미를 담아 제정됐다. 임신과 출산을 소중히 여기고 임산부를 배려하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취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루게릭병 유전자 변이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근위축성 측색경화증(일명 루게릭병)의 원인 유전자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과정을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양대학교 김승현 교수와 한국뇌연구원 남민엽 박사 공동 연구팀이 루게릭병의 원인 유전자로 알려진 'NEK1'의 변이가 신경세포 섬모 기능을 손상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병태생리(병으로 인해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 과정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 세포의 파괴로 근육이 마비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 기전이 알려지지 않아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다. NEK1이 위험 유전자 중 하나라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어떤 생물학적 세포 이상을 유발하는지 그 구체적인 병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국내 루게릭병 환자 920명을 대상으로 한 전장유전체(총유전체) 분석을 통해 약 2.5%의 환자에게서 NEK1 유전자의 기능 상실 변이를 발견했다. 해당 변이를 가진 환자는 질병 진행 속도가 더 빠르며, 생존 기간도 더 짧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해당 환자에서 유래한 섬유아세포와 줄기세포 모델을 활용해 NEK1 결손이 섬모 형성 저해, 세포 내 칼슘 항상성 붕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 데옥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