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2일 조간)

▲ 경향신문 = 검수완박 대치 속 줄잇는 중재안, 박병석 의장을 주목한다

성소수자 군인의 평등권·행복추구권 확인한 대법원 판결

민주당의 서울시장 100% 국민 경선, 자성과 혁신 추동하길

▲ 국민일보 = 국회와 민주당이 '처럼회' 강경파에 휘둘려선 안 된다

정호영 자녀 의혹 수사 나선 경찰, 철저히 진상 규명해야

소상공인 적극 지원하되 모럴 해저드 대책 함께 내놓길

▲ 서울신문 = "검수완박 안 하면 20명 감옥 간다" 그래서 이 난린가

의혹 덩어리 尹 초대 내각, 국정 제대로 이끌겠나

러시아는 핵위협 중지하고 무모한 전쟁 멈춰라

▲ 세계일보 = "文정부 20명 감옥 안 보내려고 검수완박 강행한다"니

탈원전 정상화 서둘러 에너지 위기·탄소중립 대응해야

대통령 관저를 아직 못 정했다니, 인수위 왜 이러나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꼼수 쓰며 '검수완박'하는 이유 뭔가

새 정부, 탈원전 극복하고 제2원전시대 열기를

▲ 조선일보 = 지은 죄 얼마나 많길래 "검수완박 못하면 靑 20명 감옥"이라 하나

"괴물이 된 운동권" "민주주의를 테러" "이제 두렵다"

무리한 '확진자 격리 폐지' 발표, '文 방역 완결' 포장 위한 건가

▲ 중앙일보 = 민주당 지도부, "꼼수 정치" 내부 비판 새겨듣길

흑막 드러나는 타이이스타 의혹, 철저히 수사해야

▲ 한겨레 = 국민에 허탈·분노 안기는 '찬스 내각' 이대로 갈 건가

동성 군인 성관계 '처벌 남용'에 제동 건 대법 판결

현실화되는 '슬로플레이션', 경제운용 '안정' 우선해야

▲ 한국일보 = 민주당 무리한 입법 강행, 결국 방탄용이었나

물가안정과 가계부채 동시에 잡아야 할 이창용

인수위·정부, 마스크 착용 해제로 다툴 때인가

▲ 디지털타임스 = 의회주의 파괴 '검수완박' 법안, 朴의장은 상정 말아야

인수위, 국가R&D 민간에 전권…선언으로 끝나선 안 된다

▲ 매일경제 = 첫 삽 뜬 지 30년 지난 새만금, 풀 수 있는 규제 다 풀어 제대로 해보라

시민 출퇴근을 방해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文정부 20명 감옥간다더라" 속내 드러난 검수완박 폭주

▲ 서울경제 = "文정부 20명 감옥 간다" 실토, 속셈 드러난 검수완박

"풀 수 있는 규제 다 풀겠다"…규제 개혁은 말보다 행동이다

美 노후 원전 재가동…'에너지 믹스' 로드맵 새로 짜라

▲ 이데일리 = 내리막길 들어선 중국 경제, 탈(脫)중국 더 늦출 수 없다

"뮤직카우=증권상품"…규제 늦었지만 감독 철저해야

▲ 전자신문 = '국가전략기술' 속도전으로 가야

= PC업계 벼랑 내모는 '조달 옵션계약'

▲ 한국경제 = 이창용의 "민간 주도 성장", 정말 오랜만에 듣는 바른말

제도권 진입한 조각투자, 신뢰 인프라 제대로 구축해야

'검수완박' 폭주 제동, 박병석 의장에 달렸다

▲ e대한경제 = 尹 당선인의 대대적 규제 완화 방침 기업·경제에 활력 불어넣길

생산자물가 5년여 만에 최대 상승, 돈 푸는 데 신중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얼마나 돌아올까…이번주 수련협의체 논의 주목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논의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오는 7일 전공의 수련협의체 논의에 따라 하반기 모집 공고가 곧 이뤄질 예정인데, 1년 6개월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얼마나 수련 재개를 택할지 주목된다. 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오는 5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반기 인턴·레지던트 모집인원 신청을 받는다. 수련병원별 모집 신청이 이뤄지면 이르면 오는 8일, 늦어도 다음 주 초엔 병원별로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필수과목 레지던트 1년 차로 수련을 새로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필기시험 원서 접수도 오는 4∼5일 이뤄진다. 16일 치러지는 필기 응시자들과 원 병원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중순 이후 병원별로 함께 면접을 거친 후 9월 1일 수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내기 전에 정부와 전공의, 수련병원들이 협의해야 하는 것들이 남아있다. 사직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조치들로, 대표적인 것이 미필 전공의들을 위한 입영 특례다. 의무사관후보생인 미필 전공의들은 사직하면 자동으로 군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