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30개월이상 사용시 폐암위험 4.6배"…첫 역학증거

"가습기살균제 장기 사용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첫 역학증거 제시"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이 30개월 이상일 경우 5개월 미만 사용자에 비해 폐암 위험이 4.6배에 달한다는 의료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에 따른 폐암 발생 위험을 밝혀내 가습기살균제 장기사용이 폐암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증거가 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3천605명 중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지 4년 후 폐암으로 진단된 피해자는 121명이었다.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별 폐암 환자 수는 5개월 미만 2명, 5∼14개월 14명, 15∼29개월 23명, 30개월 이상 82명이었다.

 30개월 이상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다는 비율은 폐암 환자에서 67.9%(82명)로, 폐암으로 진단되지 않은 피해자 그룹의 41.3%(1천440명)에 비해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과 폐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별과 연령, 교육 수준, 흡연 상태, 가습기와의 거리 등 질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요인을 보정해 분석했다. 결괏값에 혼란을 주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그 결과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 5개월 미만 그룹을 기준으로 했을 때 사용기간이 30개월 이상인 그룹의 폐암 위험은 4.6배, 15∼29개월 그룹은 2.45배, 5∼14개월 그룹은 1.81배였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의 장기간 사용이 폐암 발생의 위험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는 기존의 동물 실험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장기간 가습기살균제 사용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적 증거를 제시한 첫 사례"라면서도 "결과를 확증하기 위해서는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NIER) 지원으로 수행됐다.

2011년 세상에 드러난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현재까지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만 5천908명에 달하는 최악의 환경 참사다.

정부는 이번 달 초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대표와 간담회를 진행하고 사과와 함께 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지난해 6월 대법원은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국가도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고, 정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종국적 해결'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애플워치 혈중산소 측정 기능 재도입…특허 패소 22개월만
애플은 애플워치 이용자를 위해 재설계된 혈중 산소 측정 기능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애플은 재설계된 이 기능이 지난 14일(현지시간)부터 일부 애플워치9과 10, 애플워치 울트라2 이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2023년 10월 의료기술 업체 마시모와 이 기술의 특허를 둘러싼 소송에서 패한 지 1년 10개월 만이다. 당시 미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애플이 마시모의 혈중 산소 측정 기술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해 해당 기술이 들어간 애플워치의 미국 수입 금지를 결정했다. 애플은 2020년 이 기술을 처음 애플워치에 도입했지만, ITC 결정으로 애플워치를 미국에 들여오기 위해서는 이 기능을 제거해야 했다. 애플 측은 최근 재설계된 기능과 관련한 미 관세청의 결정으로 이번 업데이트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전 기능은 애플워치 자체에서 혈중 산소 수치를 계산해 표시하는 반면, 재설계된 기능은 애플워치에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해 페어링 된 아이폰으로 전송하고 아이폰에서 수치를 계산해 '건강' 앱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미 관세청은 재설계된 기능이 이전 기능과 달리 마시모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애플은 "우리 팀들은 과학에 기반하고 개인정보 보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