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 풍미 비밀은 카카오 콩 발효…핵심 미생물 찾았다"

英연구팀 "풍미 생성 미생물·발효조건 규명…초콜릿 고급화·표준화 기여"

 

 초콜릿의 독특한 풍미는 카카오 콩 수확 후 자연 상태에서 일어나는 발효에 의해 결정된다. 통제가 불가능했던 이 발효 과정에서 초콜릿의 풍미 특성을 만들어내는 미생물 군집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영국 노팅엄대 데이비드 E. 솔트 교수와 가브리엘 카스티요 교수팀은 19일 과학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서 콜롬비아의 카카오 농장 세 곳에서 발효 중인 카카오 콩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 독특한 미생물 군집이 프리미엄 초콜릿 풍미 특성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카카오 콩 발효는 와인이나 치즈 등을 만들 때 독특한 풍미를 위해 특정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자연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농장이 있는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으며 생산자가 이 과정을 통제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

수확 후 7일간 발효 과정 중 카카오 콩의 변화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콜롬비아 안티오키아와 윌라, 산탄데르 등 세 지역의 카카오 농장에서 수확 후 발효 중인 카카오 콩을 수집,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발효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과 온도·pH 같은 비생물적 요인 등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안티오키아 지역 한 농장에서 카카오 콩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Saccharomyces, Candida 등)와 곰팡이(Aspergillus, Penicillium, Mucor 등) 등이 고급 초콜릿 풍미를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어 미생물 간 상호작용과 대사 경로를 규명하고, 이들 박테리아와 곰팡이로 발효용 미생물 군집을 만들어 실험실 조건에서 카카오 콩을 발효시켰다.

 그 결과 실험실 조건에서도 농장 자연 발효와 같은 초콜릿의 섬세한 풍미를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풍미를 평가하는 미각 전문가들과 초콜릿 대사체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고급 풍미 초콜릿과 연관된 핵심 미생물종들과 대사적 특성을 확인하고, 온도·pH 같은 비생물적 발효 요인도 규명했다며 이는 고품질 풍미가 풍부한 초콜릿을 지속해서 생산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데이비드 고폴찬 박사는 미생물 역학과 특정 pH, 온도 등 측정 가능한 지표들을 통해 일관된 풍미의 초콜릿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는 자연적이고 통제되지 않은 카카오 콩 발효 과정을 표준화되고 과학적으로 관리되는 과정으로 바꾸는 시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icrobiology, David E. Salt et al., 'A defined microbial community reproduces attributes of fine flavour chocolate fermentatio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4-025-02077-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약품 리베이트로 건보 재정 악화…약가제도 근본 개선해야"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은 지난 24일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뒷돈)를 근절하기 위해 약가제도와 유통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노조는 이날 조합원 1만4천명의 이름으로 낸 성명에서 최근 드러난 의약품 도매업체의 불법 리베이트 제공 사건을 언급하며 이렇게 주장했다.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조만래 부장검사 직무대리)는 최근 제약업체 대표 A씨와 대학병원 이사장 등 8명을 배임 수·증재, 의료법 및 약사법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다. A씨는 2019∼2024년 대학병원 측과 대형 종합병원 이사장 등에게 50억원가량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를 받는다. 노조는 "불법 리베이트와 입찰 담합 등으로 부풀려진 의약품 비용은 고스란히 국민 의료비 부담으로 전가되고, 불필요한 과다 의약품 처방까지 이어져 국민 건강과 생명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며 "이는 건강보험 재정 누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결국 국민과 기업의 건강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단속과 처벌만으로는 매년 반복되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의 악순환을 끊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 대신 노조는 "공급자 간 가격 경쟁을 통한 약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