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찌감치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국내 현실을 고려해 노인 의료비를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준현 건강정책참여연구소 소장은 9일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등이 주최한 '노인의료비 국가책임제 시행방안' 국회토론회에서 이런 제안을 내놨다. 김 소장은 "초고령사회에서 건강보험 운영방식도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며 "정부 책임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노인 의료비에 따른 건강보험 재정 불안 요인을 해소하고, 노인 의료의 안전망을 구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4∼2023년 건강보험 급여비는 연평균 8.1% 늘었고, 2023년 기준 급여비는 83조원에 달해 2014년의 약 2배가 됐다"며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의 급여비 증가율은 10.5%로 14세 이하 유년층(4.6%), 15∼64세 노동연령층(6.8%)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그는 앞으로 노인 인구가 급증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70세 이상 노인의 총인구 대비 비중은 2023년 11.9%에서 2050년 32.2%, 2070년 40.7%로 늘어난다. 45년 뒤에는 인구 10명 중 4명이 70세 이상인 셈이다. 김 소장은 "노년층이 차지하는 건강보험 급여비 비중은
한국기술교육대는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심영석 교수 연구팀이 고신뢰성 나노가스센서와 딥러닝 기술을 결합한 인공 후각 시스템을 개발해, 극한의 고습도 환경에서도 99.5% 이상의 정확도로 다종 가스를 분류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독일에서 발간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5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센서의 정밀성과 인공지능 학습 효율을 동시에 확보한 융합 기술로, 다종 가스를 높은 신뢰도로 감지하고 구별할 수 있는 인공 후각 플랫폼을 제시했다"며 "산업 현장의 유해가스 감지뿐 아니라 폐 질환, 당뇨병 등 날숨 기반 질병 조기진단 분야로도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에는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조윤행 석사과정생이 제1 저자, 심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한국화학연구원 조동휘 박사, 상명대 이광재 교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칠형·김동수 박사, 홍익대 서정환 교수 등이 공동연구에 참여했다.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건보당국이 진료비를 과도하게 청구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이른바 '진료비 이상기관'을 정교하게 찾아내기 위한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의료기관의 특성을 세분화하고 진료 항목별 비용까지 분석해 기존 방식보다 효과적으로 이상 징후를 포착할 것으로 기대된다. 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따르면 기존에는 단순히 같은 종류(종별)의 의료기관이라는 이유만으로 진료비를 비교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병원마다 진료과목, 환자 구성, 지역적 특성 등이 달라 단순 비교는 한계가 있었다. 소위 '가격차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심평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기관을 유사한 특성끼리 묶어 비교하는 '의료기관 유형화' 방식을 도입했다. 새로운 모델은 먼저 의원을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 등 26개 표시과목별로 나누고, 병원은 100병상을 기준으로 2개 그룹으로 세분화한다. 이렇게 비슷한 특성의 기관끼리 그룹화한 뒤 그룹 내에서 통계적으로 평균보다 현저히 높은 진료비(ECI·Episodes-Costliness Index)를 보이는 기관을 1차 선별한다. 이때 고정된 기준값(기존 ECI 1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요양기관의 급여비용 부당청구 행위를 신고한 제보자 10명에게 총 17억2천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고 9일 밝혔다. 건보공단은 이들의 제보로 병의원 10곳에서 총 232억5천만원을 거짓·부당하게 청구한 사실을 적발했다. 이번에는 공단 사상 최고 포상액인 16억원이 제보자 한 명에 지급될 예정이다. 이 제보자는 비의료인 A씨가 의료인의 면허를 빌려 요양기관을 불법으로 개설·운영한 속칭 '사무장병원'을 제보했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애초 개인 사업자였던 A씨는 의사인 친인척 B씨 명의로 사무장병원을 차린 뒤 수익을 차량 할부금, 카드 대금 등에 사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다 B씨와 병원 운영에 불화가 생기자 내연 관계인 C씨와 또다시 사무장병원을 개설한 뒤 본인과 C씨의 임금으로 연봉 1억8천만원을 주기로 하는 등 수익을 빼돌렸다. 사무장병원을 운영하며 부당하게 편취한 금액은 211억원에 이른다. 이밖에 병원 컨설팅 업체 대표가 치과의사 명의를 빌려 치과의원을 개설해 4억2천만원을 편취하거나, 비급여 진료를 하거나 진료를 하지 않고도 건보공단에 4억4천만원을 허위로 청구한 치 과의원 사례도 적발됐다. 각각의 제보자에게는 3천만원과 5천만원의 포상금이
정부가 사직 전공의들의 5월 복귀를 위한 추가모집 가능성을 시사하자 복귀를 원하는 전공의들을 중심으로 목소리 결집에 속도를 내고 있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사 커뮤니티와 텔레그램 채팅방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에서 '5월 복귀'에 관한 사직 전공의들의 수요조사가 잇따르고 있다. 전날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가 확인된다면 5월 중이라도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적극적으로 복귀 의사를 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는 복귀 의사를 표현하는 설문에 참여하라고 당부하며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행동"이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해당 글 작성자는 "복귀 의사 있는 분들한테 꼭 수요조사 참여하자고 한마디씩만 부탁드린다"며 "지금 움직이지 않으면 기회는 사라진다. 위기의식을 갖고 총력을 다해달라"고도 했다. 이외에 실제 사직한 전공의들의 복귀 희망 수요를 익명으로 파악하는 설문과 지난 4일 일부 사직 전공의가 시작한 '사직 전공의 5월 추가모집 요청 설문조사'도 각각 진행 중이다. 지난 4일 텔레그램 채팅방을 통해 시작된 5월 복귀 의향
암 환자의 얼굴 사진을 분석해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를 추정하고, 암 치료 예후까지 예측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 개발됐다. AI가 분석한 생물학적 나이가 실제 나이(chronological age)보다 높으면 암 치료 예후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브리검(Mass General Brigham) 휴고 에어츠 박사팀은 9일 의학 저널 랜싯 디지털 헬스(Lancet Digital Health) 심층학습(deep learning)과 얼굴 인식 기술로 얼굴 사진을 분석, 생물학적 나이를 추정하는 AI '페이스에이지'(FaceAge)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또 페이스에이지를 암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암 환자들은 암이 없는 환자들보다 생물학적 나이가 평균 5살 높았고, 생물학적 나이가 높은 환자들은 단기 생존 가능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환자의 얼굴 등 외모는 의사들에게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단서를 줄 수 있지만 의사들도 사람 나이에 대한 편견이 있을 수 있고 이는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보다 객관적이고 예측 가능한 지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딥러닝과 얼굴 인식 기술로 얼굴
[오늘의 주요 일정](9일·금) [정치] ▲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권성동 원내대표, 의원총회(11:00 국회 본관 예결위회의장) 권성동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09:00 국회 본관 245호) ▲ 개혁신당 천하람 상임선거대책위원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면담(08:20 한국교총/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4층) ▲ 더불어민주당 윤여준 상임총괄선대위원장,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09:30 당사 4층회의실)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09:30 당사 4층회의실)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 골목골목 선거대책위원회 제1차 회의(10:30 중앙당사 4층 회의실)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 광장대선연합정치시민연대-제정당 연석회의공동 선언 발표 기자회견(14:00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 ▲ 조국혁신당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 광장대선연합정치시민연대-제정당 연석회의 공동 선언 발표 기자회견(14:00 민주당 당대표회의실) 서왕진 원내대표, 장윤선의 취재편의점 생방송 출연(09:30) 서왕진 원내대표,오마이TV 박정호의 핫스팟 출연(11:30) ◇ 대선 주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골목골목 경청투어 : 영남신라벨트> 경북 경
[오늘의 증시일정](9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에스에너지 [095910](BW행사 52만2천282주 1천436원) ▲ 큐리언트 [115180](유상증자 134만4천86주 5천952원) ▲ 헝셩그룹 [900270](유상증자 2천400만주 250원) ▲ 카카오 [035720](스톡옵션 4만1천539주 3만2천31원) ▲ 아이센스 [099190](스톡옵션 3만8천주 1만원, 스톡옵션 3만6천주 1만4천275원) ▲ 지노믹트리 [228760](스톡옵션 1만4천309주 1만1천840원) ▲ 파두 [440110](스톡옵션 1만4천주 4천500원, 스톡옵션 5천720주 7천107원) ▲ 고스트스튜디오 [950190](주식소각) ▲ 나이벡 [138610](CB전환 8만6천379주 1만5천860원) ▲ 엑스페릭스 [317770](CB전환 21만2천808주 2천467원) ▲ 꿈비 [407400](CB전환 124만7천155주 7천944원) ▲ KG모빌리티 [003620](무상감자) ▲ 참엔지니어링 [009310](무상감자) ▲ 에이스테크 [088800](무상감자) ▲ 플라즈맵 [405000](무상감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8일) 주요공시] ▲ 효성重, 덴마크 오스테
▲ 경향신문 = 정년연장 '노사 자율'로 하자는 공익위원들 무책임하다 친윤 '후보 교체'·김문수 '법적 분쟁', 이런 단일화 왜 하나 성접대 무혐의에 형사보상금, 김학의는 부끄러움 모르나 ▲ 국민일보 = 국힘 단일화 내분 점입가경… 대선 포기했나 법원 제동에도 韓 원전 계약 승인한 체코 정부 민주당의 과도한 사법권 침해, 여기서 멈춰야 ▲ 동아일보 = "알량한 후보" "대국민 사기극"… 막장으로 치닫는 국힘 내홍 민주 "조희대 사퇴" "대법관 청문회"… 도를 넘는 사법 압박이다 韓 교사 능력 OECD 하위권… 교육의 질은 교사 수준 못 넘는데 ▲ 서울신문 = 단일화 놓고 법적 분쟁까지… 국힘, 대선 포기할 셈인가 사법권이 주머니 속 공깃돌… 민주, '삼권귀일' 비판 못 듣나 미등록 이주아동 2만명… 이런 '국력 낭비' 방치해서야 ▲ 세계일보 = 당·후보 초유의 충돌 사태, 파국 치닫는 국힘 단일화 민주 '조희대 겁박' 중단하고, 대법은 내부 혼란 수습해야 "15년 뒤 잠재성장률 0%"… 퍼주기 공약 남발할 때인가 ▲ 아시아투데이 = 김문수, 초심으로 돌아가 나라 살릴 결단 내리길 대법원장을 국회 증인석 세우려는 민주당의 횡포 이재명 재판 연기, 법원의 백기투
▲ 경향신문 = '후보 교체' 꺼낸 지도부… '법적 대응' 나선 김문수 ▲ 국민일보 = 당 vs 후보 사상 초유 '단일화 소송전' ▲ 동아일보 = '단일화 파국' 치닫는 金·韓·黨 ▲ 매일일보 = 金·韓 '단일화 담판' 2차회동도 결렬 ▲ 서울신문 = 초유의 '생중계 설전' ▲ 세계일보 = 金·韓 다시 만났지만…단일화 무산 위기 ▲ 아시아투데이 = 强대 强… 전면전 치닫는 국힘 단일화 ▲ 일간투데이 = 韓 반도체·의약품 美 안보위협 아냐 ▲ 조선일보 = 金·韓 또 빈손… 국힘, 후보 교체 오늘 결정 ▲ 중앙일보 = 7시간 미국 하이닉스 허가 내줄 때 6년 한국선 하이닉스 딴죽 걸었다 ▲ 한겨레 = 국힘, 강제 후보교체 돌입…파국 치닫는 단일화 ▲ 한국일보 = 강제 단일화 vs 법적대응… 기호2번 '빈칸' 우려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늙어가는 고속道… 33%가 30년 넘었다 ▲ 디지털타임스 = 롯데손보-금감원, '콜옵션' 정면충돌 ▲ 매일경제 = "美주식보다 신흥국·금 분산투자를" ▲ 브릿지경제 = D램값 날개… K반도체 훈풍 ▲ 서울경제 = '정치SOC' 가덕도신공항 결국 무산 ▲ 아시아타임즈 = 체코 원전 급제동… 한전·한수원 집안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