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공의 복귀 후 병원 상황이 어느 정도 정상화되고 있다며, 작년 2월 발령된 보건의료위기 '심각' 경보를 추석 연휴 이후 내달 중에 해제한다고 밝혔다.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 지역 의대 신설은 최대한 빠르게 진행해 내년 4월 전엔 초안을 마련하는 게 목표라면서도, 이 과정에서 근거 마련과 의견 수렴을 충실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지난 29일 서울 중구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서 진행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추석 연휴까지 안정적으로 비상진료대책을 가동하고 이후 위기평가회의를 거쳐 '심각' 단계는 하향 조정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추석 연휴 의료현장에 큰 차질이 없다면 10월 중에 조정을 하겠다며, "비상진료체계에서 취하던 조치들을 하나하나 어떻게 할지는 논의해서 의료기관하고 국민께 알려드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자 2월 23일 사상 처음으로 보건의료 재난경보단계를 최고인 '심각'으로 상향하고 지금까지 유지해왔다. 내달 1년 8개월 만에 심각 단계가 해제되면 정부의 비상진료체계 가동도 중단된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복지 신청주의' 개선을 위해 아동수당 등 현금 급여를 우선 자동 지급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9일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아동수당 등 보편적인 현금 서비스에 자동 지급을 먼저 적용하겠다"며 "인공지능(AI)을 도입해 복지 사각지대를 더 정교하게 발굴하는 등 몰라서 서비스를 못 받는 일이 없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소득 기준 등이 없이 대상자 모두에게 지급되는 보편적인 현금 급여로는 아동수당 외에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 등이 있다. 정 장관은 또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에서 논의를 이어갈 연금개혁 후속 작업과 관련해선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다음은 정 장관과의 일문일답. --취임 후 두 달이 지났는데 어떻게 보냈나. ▲ 국정과제와 그 세부계획 세우는 게 가장 큰 일이었다.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짧았다. 내년 3월 지역사회 통합돌봄 본격 시행을 앞두고 현장 방문을 하면서 지역별 특성에 맞는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지방 국립대병원 현장 등을 방문하면서는 지역 의료공백의 심각성을 느끼고 중증필수의료 인력 확보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응급의료 문제
[정치] ▲ 이재명 대통령 제44회 국무회의(10:00 대통령실) ▲ 김민석 국무총리 국무회의(10:00 대통령실) 서울청사 환경실무원 격려 오찬(12:30 정부서울청사) ▲ 우원식 국회의장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현황 점검(10:50 경북문화관광공사 육부촌) APEC 정상회의장 및 미디어센터 방문(11:40 경주 화백컨벤션센터) 라한호텔 시찰(13:50 경주 라한호텔) 경주엑스포 시찰(14:40 경주엑스포) 국립경주박물관 시찰(15:35 국립경주박물관)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13:00 본관 601호)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14:00 본관 406호)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전체회의(14:00 본관 220호)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15:00 본관 430호)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16:00 본관 501호)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2025 더불어민주당 전남 예산정책협의회(10:230 국회 본청 245호) 정청래 당대표, 자본시장 현장 간담회(14:00 KRX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19층 이사회회의실) 김병기 원내대표, 경제형벌 민사책임 합리화TF 당정협의(08:00 국회 의원회관 306호) 김병기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09:30
[오늘의 증시일정](30일) ◇ 신규상장 ▲ 삼성스팩11호[0071M0] ▲ KB제33호스팩[0072Z0] ◇ 추가 및 변경상장 ▲ 스튜디오삼익 [415380](무상증자 762만8천650주) ▲ 네오이뮨텍 [950220](유상증자 6천552만4천190주 721원) ▲ 브이엠 [089970](스톡옵션 2만주 6천800원) ▲ 알테오젠 [196170](스톡옵션 3만8천주 6만3천889원, 스톡옵션 2천400주 6만2천858원, 스톡옵션 420주 4만7천417원) ▲ 미트박스 [475460](스톡옵션 7천375주 4천원) ▲ 주연테크 [044380](주식소각) ▲ 하나금융지주 [086790](주식소각) ▲ 비에이치 [090460](주식소각) ▲ 한국첨단소재 [062970](CB전환 332만2천258주 1천204원) ▲ 오킨스전자 [080580](CB전환 26만5천350주 5천276원) ▲ 이수앱지스 [086890](CB전환 13만8천904주 4천445원) ▲ 심텍 [222800](CB전환 14만2천256주 2만1천194원) ▲ 앱튼 [270520](CB전환 49만7천17주 1천6원) ▲ 네오펙트 [290660](CB전환 1만1천454주 873원) ▲ 지아이이노베이
▲ 경향신문 = '3년의 무대책' 후 디지털 대란, 국가안전망 새 틀 짜라 중국인 무비자도 '혐중 공격'한 국힘, 국익은 안중에 없나 멈춰 선 한강버스, '안전 뒷전' 졸속·전시 행정 없어야 ▲ 국민일보 = 전산망 마비 책임 놓고 '네 탓' 공방만 하는 여야 재난 수습 힘 모으자면서 대법원장 청문회로 싸우나 3주 만에 부동산 대책 만지작… 문재인 시즌2 경계해야 ▲ 동아일보 = 배터리 선진국에서 반복되는 후진적 배터리 재앙 '빚의 늪' 빠진 자영업자 4년 새 10배… 아직 끝나지 않은 팬데믹 대학마저 '교권 추락 몸살'… 자력구제에 내맡길 일 아니다 ▲ 서울신문 = 강성 지지층만 보이는 여야… 민생은 안중에도 없다 북중 밀착, 한미 이완… 정치권 '메시지 관리' 유념할 때 커지는 집값 불안, 수요 억제만으로는 역부족 ▲ 세계일보 = 국가전산망 마비 민원 대란에도 여야는 네 탓 공방 관세협상 난항 속 트럼프 향한 막말, 국익에 도움 안 돼 '9·7대책'에도 집값 천정부지, 공급 확대 속도 내야 ▲ 아시아투데이 = 껍데기만 남은 기재부, 경제 환경 급변 대응하겠나 "대법원장이 뭐라고"…조희대 청문회 다음은 탄핵 가나 ▲ 조선일보 = 이공계 매년 580만명 배출
▲ 경향신문 = '정부24' 복구… 나흘 만에 급한 불 껐다 ▲ 국민일보 = '재해복구 센터' 18년째 표류… 피해 키웠다 ▲ 동아일보 = 서류 떼려 연차, 수기 결재…'아날로그 정부' ▲ 매일일보 = '먹통' 복구율 10%… 전국서 '민원대란' ▲ 서울신문 = 배터리 교체 무시… '세 번의 경고' 놓쳤다 ▲ 세계일보 = "정상화에 최소 4주"…민원대란 장기화 ▲ 아시아투데이 = 수차례 경고에도 '전산망 먹통' 당했다 ▲ 일간투데이 =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첫날… 유통가는 '축제' 관리체계는 '불안' ▲ 조선일보 = 與, 대법 판결 뒤집는 4심제 추진 ▲ 중앙일보 = "한과 수만개 버릴판" 소사장들의 눈물 ▲ 한겨레 = 국민신문고 등 96개 정상화에 최소 4주 ▲ 한국일보 = '민원 스톱'은 풀었지만, 정상화까지 한 달 ▲ 글로벌이코노믹 = 계좌·카드·대출 '먹통' …고객 '울화통' ▲ 대한경제 = 한강벨트에 19.8만호…'서울형 31만호' 짓는다 ▲ 디지털타임스 = 온통 '기본 무시'…국가망 마비 '필연'이었다 ▲ 매일경제 = 주택공급 총력전 고도제한도 푼다 ▲ 브릿지경제 = 신한·우리·BNK 수장 정부 소통 '유임' 변수 ▲ 서울경제 = 7년만에 돌아온
■ 국가 전산망 먹통 닷새째…국민 불편 현재 진행형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30일 국가 행정이 닷새째 마비되면서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시스템 복구에 앞으로 4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민 불편 장기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오후 4시 기준 국정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73개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929165900530 ■ 李대통령, 오늘 이시바 日총리와 부산서 세 번째 정상회담 이재명 대통령은 퇴임을 앞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이번 회담에서는 인구 소멸과 지방 활성화, 인공지능(AI)·수소에너지 등 첨단기술과 관련해 양국의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정부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대미 관세협상도 정식 의제는 아니지만 일본이 한국보다 일찍 협상을 매듭지은 만큼 자연스럽게 대화 주제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929167000001 ■ 위성락 "통화스와프 낙관 어려워…협상, 크게 비관적이
매달 월급에서 꼬박꼬박 내는 건강보험료는 아플 때 기댈 수 있는 가장 든든한 사회 안전망이다. 하지만 이 금고의 한쪽 구석이 18년째 비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국민은 많지 않다. 금고를 함께 채우기로 약속한 정부가 법으로 정해진 돈을 제대로 넣지 않으면서, 그 구멍이 무려 21조 원을 넘어선 것이다. 커져만 가는 재정 부담은 결국 국민 모두의 보험료 인상이라는 청구서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졌다. ◇ 매년 반복되는 '법 따로, 현실 따로' 30일 국회입법조사처와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현행법(국민건강보험법 제108조)에 따라 정부는 매년 국민이 낸 보험료 예상 수입액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건강보험 재정에 지원해야 한다. 이는 국가가 국민의 건강을 함께 책임지겠다는 약속이자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다. 하지만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정부가 의무적으로 지원을 시작한 2007년부터 2024년까지 법이 정한 20%를 온전히 채운 해는 단 한 번도 없었다. 이 기간 정부의 평균 지원율은 14.6%에 그쳤다. 정부가 법을 지켰더라면 건강보험 재정에는 지난 18년간 총 21조7천285억원이라는 막대한 자금이 더 쌓여 있어야 했다.
국내 여성 암 발생 1위는 단연 유방암이다. 해마다 3만여명이 새롭게 진단받고 있으며, 특히 서구와 달리 젊은층에서 발병이 많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한국유방암학회에 따르면 2021년 신규 유방암 환자는 40대 8천589명, 50대 8천447명, 60대 5천978명, 70대 2천611명, 30대 2천96명 순으로 집계됐다. 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40∼50대 여성으로, '젊은 유방암'이 결코 예외적 현상이 아님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서구형 식습관, 음주·흡연, 운동 부족과 비만, 유전적 요인 등을 꼽는다. 이중 식습관 요인은 각종 연구를 통해 그 위험성이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대 예방의학교실(강대희, 이효빈)·유방외과(한원식)·식품영양학과(이정은) 공동 연구팀이 2004∼2013년 도시 기반 코호트연구(HEXA study)를 통해 서구형 식습관 중에서도 소시지·햄·베이컨 등의 가공육 소비가 유방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이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임상영양학'(Clinical Nutri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40∼69세 여성 7만1천264명을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추적
아버지가 15세 이전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경우 그들의 자녀는 그렇지 않은 아버지를 둔 자녀에 비해 노화 속도가 1년가량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르웨이 베르겐대 후안 파블로 로페스-세르반테스 박사팀은 지난 29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호흡기학회(ERS) 학술대회에서 890여명을 대상으로 한 아버지의 청소년기 흡연과 자녀 노화 간 연관성 분석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15세 전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아버지를 둔 사람들에게서 실제 나이보다 빠른 생물학적 노화 징후를 발견했다며 흡연자 자신뿐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해서도 청소년 흡연 예방 노력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로페스-세르반테스 박사는 "이전 연구에서 사춘기 흡연이 본인뿐 아니라 미래 자녀에게도 해로울 수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며 이 연구에서 부모의 사춘기 흡연이 자녀의 생물학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북유럽·스페인·오스트레일리아 호흡기 건강(RHINESSA) 연구에 참여한 7~50세 892명(평균 나이 28세)을 대상으로 본인과 부모의 흡연 여부, 흡연 시작 연령 등을 조사하고, 혈액 표본을 이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