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야심 차게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시범사업을 시작했지만, 정작 대상 의료기관의 절반 이상은 전담 인력 부족으로 참여조차 못 하는 등 '반쪽짜리'에 그치고 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ASP 참여 병원과 미참여 병원 간 관리 수준 격차가 커, 항생제 관리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3일 질병관리청의 의뢰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김봉영 교수)이 수행한 '국내 의료기관 내 항생제 적정 사용관리(ASP)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전국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153곳 중 ASP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은 46.4%인 71곳에 불과했다. 82곳(53.6%)은 참여하지 않고 있었다. 시범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복수 응답)는 'ASP 전담 인력 부족'(79.5%)이었다. 이어 '의사 부족' (60.2%), '약사 부족' (57.8%) 순으로,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이 사업 참여의 최대 걸림돌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항생제 관리 수준이 극명하게 갈린다는 점이다. 자체적인 항생제 사용 지침을 보유한 비율은 참여 기관
[오늘의 주요 일정](3일·목) [정치] ▲ 이재명 대통령 수석·보좌관 회의 주재(15:00 대통령실) ▲ 우원식 국회의장 시민발전이종협동조합연합회 정책간담회(10:00 의장집무실) 본회의(14:00 본회의장) ▲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604호)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10:30 본관 406호) 본회의(14:00 본회의장) 산불피해지원대책특별위원회 소위원회(본회의 산회 직후 본관 501호) ▲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정책조정회의(09:30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신탁사기 피해자 구제를 위한 사회적 협약(10:40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정기획위 - 민주당 국방위원 간담회(11:00 국회 의원회관 306호) ▲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비상대책위원회의(09:00 국회 본관 228호)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최수진 의원 주최 <합성생물학 발전 방안 논의를 위한 국회 토론회>(10:00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의원총회(11:00 국회 본관 246호
[오늘의 증시일정](3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아톤 [158430](BW행사 5만1천678주 3천870원) ▲ 손오공 [066910](유상증자 645만9천948주 774원) ▲ 서부T&D [006730](주식소각) ▲ 현대무벡스 [319400](주식소각)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일) 주요공시] ▲ 에스티젠바이오, 46억원 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계약
▲ 경향신문 = 탈권위 이재명 정부, 실용·협치 싹틔운 한 달의 '빛과 과제' 심상찮은 생활물가, 추경 돈 풀리기 전 확실히 잡아야 비상계엄 전 평양 무인기 침투가 윤석열 지시였다니 ▲ 국민일보 = 안철수 혁신위원장, 당 깨지더라도 제대로 혁신하길 심우정 총장 사퇴… 검찰청 폐지와 대안 논의는 신중해야 라면에 달걀 넣기 겁나는 세상… 서민 물가 확실히 잡아야 ▲ 동아일보 = 中, 전승절 李 초청 타진… 지금 참석 결정은 '경중' 오해만 살 것 "평양 무인기 'V' 지시라 들어"… 듣기만 해도 섬뜩한 '불장난' "대통령-公기관장 임기 일치 추진"… '정치 낙하산'도 막아야 ▲ 서울신문 = 검찰개혁, 속도전 아닌 "국민 피해 없도록" 방향 잡아야 100년 뒤 한국 753만명… 새 정부, 인구대책 밑그림 있나 '공수'만 바뀌는 공공기관장 알박기 논란, 이번에 매듭을 ▲ 세계일보 = 무난했지만 협치·인사는 과제 남긴 李 정부 한 달 안철수 혁신위, 尹 파면 반대 당론 무효가 쇄신 첫걸음 "평양 무인기 침투는 尹 지시"… 진상 명확히 규명해야 ▲ 아시아투데이 = 李취임 한달… 소통 돋보이나 경기침체 등 현안 산적 경제 어려운데 민주노총 총파업 국민지지 얻겠나 ▲ 조선
▲ 경향신문 = 특검, '내란 방조 피의자' 한덕수 조사 ▲ 국민일보 = '3%룰' 포함 상법개정안 여야 합의 ▲ 동아일보 = 내란특검, 한덕수 피의자 조사… 장관 줄소환 ▲ 매일일보 = '주택구입' 위한 카드론 대출도 규제 ▲ 서울신문 = 여야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합의 ▲ 세계일보 = 국정안정화 속도전… 외교가 관건 ▲ 아시아투데이 = G7 데뷔·추경·인사까지 李, 숨가빴던 30일 행보 ▲ 일간투데이 = 비상계엄 내란 의혹 수사 '급물살' ▲ 조선일보 = 여야 상법 개정안 합의… '3% 룰' 포함 ▲ 중앙일보 = 한덕수 14시간 조사 뒤 귀가, 질문엔 침묵 ▲ 한겨레 = 한덕수 소환…윤석열의 계엄 '직권남용' 추궁 ▲ 한국일보 = '빠르고 꼼꼼' 李리더십… "포퓰리즘 경계를" ▲ 글로벌이코노믹 = 수출, 상반기 선방에도 하반기 '불안' 여전 ▲ 대한경제 = 설자리 잃은 건설인… 현장을 떠난다 ▲ 디지털타임스 = '3%룰' 포함 상법 여야, '전격 합의' ▲ 매일경제 = 회생신청, 서울 원정가는 지방기업들 ▲ 브릿지경제 = 소외층 위한 '선한 금융', 역차별 눈흘김 씻어야 ▲ 서울경제 = 3%룰 결국 포함 '더 센 상법' 합의 ▲ 아시아타임즈 = 대
■ 李대통령, 오늘 '취임 한달' 기자회견…"질문에 겸허히 답할 것"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30일을 맞아 3일 오전 10시 첫 기자회견을 연다.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의 기자회견은 이 대통령이 간단히 모두발언을 하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회견은 유튜브로도 생중계된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702142400001 ■ 국회, 오늘 김민석 인준 표결…합의 처리 여부 주목 국회는 3일 본회의를 열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을 진행한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를 부적격 인사로 규정하고 자진 사퇴나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있으나, 더불어민주당은 여야 합의가 불발될 경우 단독 처리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167석)과 범여권 정당 의석수를 고려하면 국민의힘 동의 없이도 총리 인준안 표결 및 통과가 가능한 상황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702158900001 ■ 먹거리 물가 불안…상반기 무 54%·배추 27%·김 25% 뛰었다 올해 상반기 소비자 물가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이상 올랐다. 전체
뇌 특정 영역의 신경 연결 강도를 측정하면 수학을 얼마나 잘 배울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고, 이 영역을 약한 전기 자극하면 수학 학습 능력을 향상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서리대 로이 코언 카도시 교수팀은 3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서 남녀 72명을 대상으로 한 뇌 영역 간 연결 강도 측정과 전기 자극 및 수학 과제 수행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도시 교수는 "지금까지 교육 향상 노력은 대부분 교사 훈련, 교육과정 재설계 등 환경 변화에 집중돼 왔고 학습자의 신경생물학 측면은 간과돼 왔다"며 이 연구는 생물학적 요인이 수학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학습자들이 자주 어려움을 겪는 영역 중 하나가 수학 학습이다. 수학 능력은 어렸을 때 이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는 읽기 같은 인지 능력과 달리 어린 시절부터 성인기까지 정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는 선천적인 뇌 특성이 수학 학습을 결정할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최근 신경생물학 연구에서 수학 학습에 뇌의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 두정후부 피질(PPC), 해마(hippocampus)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분만취약지 내 의료기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 산부인과 의사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지역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한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장원모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하고, 시설·장비비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60분 내 분만 의료 이용률이 30% 미만이거나, 60분 내 분만할 수 있는 의료기관에 접근 불가능한 인구 비율이 30% 이상인 곳 등이 분만취약지로 지정된다. 연구에 따르면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정책이 시행된 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도리어 3.39명 줄었다. 전일제로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0.083명 늘었으나, 시간제 근무 전문의 수가 3.47명 감소하면서 증가분을 상쇄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시행으
12세 아동 10명 중 6명은 영구치에 충치가 있거나 충치 치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5∼10월 5세와 12세 아동 2만55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과 설문을 한 결과 12세 아동의 영구치 우식(충치) 경험자율은 60.3%였다. 직전 조사인 2021∼2022년 같은 조사 때보다 1.9%포인트(p) 높아진 수치다. 12세 아동의 충치 경험자율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은 채 정체하고 있다. 앞선 조사에서 2010년 60.5%, 2012년 57.3%, 2015년 54.6%, 2018년 56.4%, 2021∼2022년 58.4%이었다. 충치를 경험한 영구치의 개수는 1인당 평균 1.9개로, 직전 조사와 동일했다. 현재 충치를 보유한 우식 유병자율은 7.3%로, 직전 조사 대비 0.4%p 올랐다. 아직 영구치가 나기 전 유치(젖니) 단계인 만 5세 아동의 경우 우식 경험자율은 58.3%였고, 현재 충치를 보유한 유병자율은 25.3%였다. 충치를 경험한 치아 개수는 평균 2.7개였다. 5세 아동의 우식 경험자율 및 유병률, 충치 치아 수는 2018년 이후 모두 감소 추세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 2010년대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가 1970년 대비 각 1.7배, 2.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1973∼2024년 연간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를 분석한 결과 모두 증가 추세에 있다고 3일 밝혔다. 폭염 및 열대야 일수는 2000년대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폭 상승했다. 1970년대 대비 2010년대 폭염일수는 평균 8.3일에서 14.0일로 1.7배, 열대야 일수는 평균 4.2일에서 9.0일로 2.1배 늘었다. 2020년대의 경우 각 16.7일, 12.9일로 2010년대보다 더 증가했다. 최근 10년(2015∼2024년)을 기준으로 하면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는 각 16.3일, 11.0일로 평년(1991∼2020년)보다 5.3일, 4.4일 많다. 여름철 폭염은 주로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권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강한 햇볕에 의해 낮 동안 기온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밤사이 기온도 크게 떨어지지 않아 열대야 또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에 폭염이 많이 발생했던 해는 대체로 열대야도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과거 52년 동안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의 상관계수는 0.84로 매우 높다